대화를 유도하는 인공지능(AI)
본문
자폐아동과 부모 간의 의미 있는 대화를 유도하는 인공지능(AI) 소통 도구 앱이 개발됐다.
이 앱은자폐아동이 능동적으로 의사표현을 하고, 상대방의 의중을 먼저 묻는 등자폐아동주도적 대화를 유도한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KAIST는 산업디자인학과 홍화정.
학과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액세스톡' 시스템 설명도.
자폐아동과 의사소통하는 액세스톡 시스템.
KAIST자폐아동과 부모 사이에 의미있는 대화를 유도하는 인공지능(AI) 소통도구가 나왔다.
KAIST 산업디자인학과 홍화정 교수팀은 네이버 AI Lab, 도닥임 아동발달센터과 협력해자폐아동과 부모 간 진정성 있는 소통을.
자폐아동에게는 개인화된 어휘 카드를, 부모에게는 문맥 기반 대화 가이드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소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산업디자인학과 홍화정 교수 연구팀이 네이버 인공지능(AI) 연구실(Lab), 도닥임 아동발달센터과 함께자폐아동과 부모 간 진정성 있는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AI 기반 소통도구 '액세스톡(AAcessTalk)'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KAIST가 개발한 액세스톡 시스템 의사 표현이 어려운 '최소 발화자폐아동(MVA)'과 부모 간 대화를 유도하는 인공지능(AI) 소통도구가 개발됐다.
연구에 참여한 가족들은 “처음으로 아이와 진짜 대화를 나누는 느낌이었다”고 전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아프리카에는자폐가 없다 OHK출판사는자폐아동을 키우는 엄마의 고군분투 성장기를 담은 『아프리카에는자폐가 없다』(최수아 지음)를 출간했다고 밝혔다.
이 책은 둘째 아이의자폐진단부터 치료, 행동 분석 훈련, 그리고자폐치료센터 설립까지 작가의 20년.
자폐아동에게는 개인화된 어휘 카드를, 부모에게는 문맥 기반 대화 가이드를 제공해 실질적인 소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KAIST 말로 의사 표현이 어려운자폐아동과 부모의 소통을 돕는 인공지능(AI) 앱(app·응용프로그램)이 나왔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가족들은 “처음으로 아이와 진짜 대화를 나누는 느낌이었다”며 깊은.
비장애인 봉사자들이 자연스럽게 동행하며 예배당으로 안내했다.
예배 중 “다 함께 일어섭시다” 같은 지시는 없다.
설교 중자폐성향의 아이가 강단에 올라와도, 성도가 중간에 화장실에 다녀와도 제지하거나 불편함을 표하는 이는 없다.